[연구실 생활을 해봅시다] 연구를 해봅시다
종합 / Bio통신원
에스프리 (2022-08-05)

지난 시간에 우리는 연구를 위해 필요한 공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공부를 통해 토대를 쌓았다면 이제 연구를 할 차례입니다. 연구실에 온 목적이 연구인만큼 연구 자체는 연구실 생활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과학적 방법론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그림 1), 실제 연구 주제를 생각하여 연구를 진행하는 게 생각보다 쉽지는 않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연구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pload_image

그림 1. 일반적인 과학적 방법의 진행 과정


연구실에서 연구를 진행할 때는 기본적으로 이 주제를 바탕으로 논문을 쓴다고 생각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진행하기 위해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그림 2): (1) 논문 공부; (2) 프로젝트 정리; (3) 다른 연구자와의 교류

논문 공부는 해당 연구 분야의 논문들을 수시로 공부하는 것으로서,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문제 정의를 하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해당 연구 분야의 논문들을 수시로 공부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어떤 것이 중요하고, 어느 정도까지 연구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본인의 연구 주제가 얼마나 중요하고,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아서 새로운 것임을 입증하고, 문제 정의를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논문을 공부했으면 단순히 읽고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로 정리해보면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고, 다음에 또다시 논문을 다 읽을 필요 없이 핵심만 짚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정리는 논문을 공부하면서 파악했던 연구 동향을 정리하는 것과, 실험을 하면서 얻은 연구 결과를 정리하는 것으로 나뉩니다. 수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를 슬라이드로 정리해보면서 그때그때 공부한 연구 동향과 수행한 연구 결과를 업데이트하여 정리하면 다른 연구자와 교류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논문을 쓸 때도 슬라이드에 정리된 논리 구조를 따라가며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른 연구자와의 교류는 객관적으로 연구를 평가하고 보완하는 데 있어 필수적입니다. 자신이 놓치고 있는 점을 다른 연구자들이 잡아낼 수도 있고, 다른 연구자들의 생각으로부터 새로운 연구 주제나 방법을 찾아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연구자들과 가장 쉽게 교류하는 방법으로 랩 미팅이 있습니다. 랩 미팅에서 자료를 성의 있게 준비하고, 적극적인 질의응답으로 임하는 자세는 연구자로서 꼭 필요한 자세입니다. 또한 다른 연구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서도 서로 배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학회에 참석하거나 학회에서 발표를 하는 것도 다른 연구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됩니다.
 

upload_image

그림 2. 연구실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는 논문 공부, 프로젝트 정리, 다른 연구자와의 교류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연구를 해봅시다’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구실에 온 목적이 연구인만큼 연구를 잘하는 것은 연구실 생활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성과를 내봅시다’라는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정보출처: BRIC 바이오통신원
<본 기사는 기관에서 작성된 보도자료 또는 개인에 의해 작성 되었습니다.>
추천 0
주소복사
댓글 (0)
HOME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B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