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연사 : 김재경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 San Francisco Veterans Affairs Medical Center)
세미나개요 보기
세미나개요 보기
수면은 서술기억과 비서술기억의 공고화 및 뇌의 가소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서술기억은 사실과 사건에 관한 기억으로 정의가 됩니다. 반면 운동기억은 운동화 끈을 묶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기술에 관한 기억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수면동안 발생하는 뇌파 또는 수면진동이 서술기억에 하는 역할에 대해 연구해 왔습니다. 반면 운동기억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습니다. 저희 Karunesh Ganguly 교수님 연구실에서는 수면동안 운동기억이 형성되는 원리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중영역에 걸친 체내 전기생리학 (in-vivo electrophysiology) 기법과 운동학습 시스템을 접목한 최신 기술을 이용하여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발표에서 소개드릴 연구 (Kim et al., Nature, 2022)에서는 대뇌와 해마체의 연결성에 근거한 운동기억의 두 단계적 형성 원리 (two-stage model)에 대한 연구 내용입니다. 기억의 두 단계적 형성원리는 1989년 저명한 뇌과학자인 Buzsaki에 의해 제시가 되었으며 (Buzsaki, Neuroscience, 1989) 많은 연구들이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 모델이 운동기억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지 그리고 실시간으로 어느 순간에 두 단계의 변화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전두엽, 운동피질, 해마체 사이의 연결성의 실시간 변화가 어떤 원리에 의해 나타나는지에 대한 근거를 이 발표에서 보여드리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