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CV(PDF)

이메일
Prasugrel dose de-escalation in diabetic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receiv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Results from HOST-REDUCE-POLYTECH-ACS trial
펼치기 Authors and Affiliations
Abstract

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prasugrel-dose de-escal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acute coronary syndrome (AC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Methods and results: This was a post-hoc analysis of the HOST-REDUCE-POLYTECH-ACS randomized trial. The efficacy and safety of prasugrel dose de-escalation therapy (prasugrel 5 mg daily)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prasugrel 10 mg daily) in patients with DM. The primary endpoint was net adverse clinical events (NACE), defined as a composite of all-cause death,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MI), stent thrombosis (ST), clinically driven revascularization, stroke, and BARC class ≥ 2 bleeding events. The secondary ischemic outcome was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events (MACE), defined as the composite of cardiac death, nonfatal MI, ST, or ischemic stroke. Of 2 338 patients randomized, 990 had DM. The primary endpoint of NACE occurred in 38 patients (7.6%) receiving prasugrel dose de-escalation and in 53 patients (11.3%) receiving conventional therapy among patients with DM (HR 0.66; 95% CI 0.43-0.99; P = 0.049). Prasugrel dose de-escalation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ischemic events (HR 1.03; 95% CI 0.56-1.88; P = 0.927) but decreased BARC class ≥ 2 bleeding in patients with DM (HR 0.44; 95% CI 0.23-0.84; P = 0.012).

Conclusion: Prasugrel dose de-escala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may reduce the risk of net clinical outcomes, mostly driven by a reduction in bleeding without an increase in ischemic events in patients with DM.

주소복사
논문정보   
- 형식: Research article
- 게재일: 2023년 01월 (BRIC 등록일 2023-02-05)
- 연구진: 국내연구진태극기
- 분야: Medicine
댓글 (0)
웨비나 참석자 모집중...
[10x Genomics] Single cell 및 Spatial tools를 통한 새로운 타깃 및 바이오마커 발굴
[10x Genomics] Single cell 및 Spatial tools를 통한 새로운 타깃 및 바이오마..
2023.06.22  |  Online 개최
삼성서울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제10회 국제심포지엄(6/23, 금)
삼성서울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제10회 국제심포지엄(6/23, 금)
2023.06.23  |  Online 개최
[POSTECH] 2023학년도 하계 시스템생명공학부 인턴십 참가모집
[POSTECH] 2023학년도 하계 시스템생명공학부 인턴십 참가모집
공지마감: 2023.06.09  |  주관: 포스텍 시스템생명공학부
[필코리아테크놀로지] 다양한 산업화 영역에서 활용되는 CRISPR technology
[필코리아테크놀로지] 다양한 산업화 영역에서 활용되는 CRISPR technology
2023.06.08  |  Online 개최
[KBIOHealth]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3차과정 교육생 모집
[KBIOHealth]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양성 3차과정 교육생 모집
2023.05.02 ~ 07.21  |  충북 청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2023년 생명과학부 하계 인턴연구쉽
2023년 생명과학부 하계 인턴연구쉽
2023.07.03 ~ 28  |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123 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
지스트 생명과학부 오픈랩 개최
지스트 생명과학부 오픈랩 개최
2023.06.09  |  생명과학부(건물번호:S3)
[POSTECH] 2023학년도 융합대학원 의과학전공 하계 인턴십 참가모집
[POSTECH] 2023학년도 융합대학원 의과학전공 하계 인턴십 참가모집
공지마감: 2023.06.16  |  주관: POSTECH 융합대학원
2023 ASCO Annual meeting Tempus Event에 초대합니다
2023 ASCO Annual meeting Tempus Event에 초대합니다
2023.06.02 ~ 06  |  시카고 McCormic Place
Advanced Microplate Reader Technology: 기초과학 및 신약개발 연구의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는 Microplate Reader 기반 기술 트렌드
Advanced Microplate Reader Technology: 기초과학 및 신약개발 연구의 다양한 영..
2023.06.13  |  Online 개최
제2회 유한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연구과제 공모
제2회 유한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연구과제 공모
공지마감: 2023.06.30  |  주관: 유한양행
[KBIOHealth] 2023 신약개발지원센터 Tech Talk
[KBIOHealth] 2023 신약개발지원센터 Tech Talk
2023.05.31  |  KW컨벤션 5층 아이리스홀
제5회 아산융합의학원(AMIST) 연구체험 인턴십 프로그램 모집 안내
제5회 아산융합의학원(AMIST) 연구체험 인턴십 프로그램 모집 안내
공지마감: 2023.06.07  |  주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아산융합의학원
[싸이티바 웨비나] 성공적인 세포 동결 보존을 위한 공정 개발 전략
[싸이티바 웨비나] 성공적인 세포 동결 보존을 위한 공정 개발 전략
2023.05.31  |  Online 개최
[Cytiva] 세포치료제 연구·생산자를 위한 맞춤 방문 세미나 "Meet the Expert"
[Cytiva] 세포치료제 연구·생산자를 위한 맞춤 방문 세미나 "Meet the Expert"
2023.05.16 ~ 12.31  |  전국구 협의 가능
HOME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B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