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PDF) |
이메일 |
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prasugrel-dose de-escal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acute coronary syndrome (AC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Methods and results: This was a post-hoc analysis of the HOST-REDUCE-POLYTECH-ACS randomized trial. The efficacy and safety of prasugrel dose de-escalation therapy (prasugrel 5 mg daily)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prasugrel 10 mg daily) in patients with DM. The primary endpoint was net adverse clinical events (NACE), defined as a composite of all-cause death,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MI), stent thrombosis (ST), clinically driven revascularization, stroke, and BARC class ≥ 2 bleeding events. The secondary ischemic outcome was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events (MACE), defined as the composite of cardiac death, nonfatal MI, ST, or ischemic stroke. Of 2 338 patients randomized, 990 had DM. The primary endpoint of NACE occurred in 38 patients (7.6%) receiving prasugrel dose de-escalation and in 53 patients (11.3%) receiving conventional therapy among patients with DM (HR 0.66; 95% CI 0.43-0.99; P = 0.049). Prasugrel dose de-escalation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ischemic events (HR 1.03; 95% CI 0.56-1.88; P = 0.927) but decreased BARC class ≥ 2 bleeding in patients with DM (HR 0.44; 95% CI 0.23-0.84; P = 0.012).
Conclusion: Prasugrel dose de-escalat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erapy may reduce the risk of net clinical outcomes, mostly driven by a reduction in bleeding without an increase in ischemic events in patients with DM.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망막혈관폐색을 극복하는 광반응성 철-나이트로실 복합체의 개발과 응용 철-나이트로실 복합체를 이용한 급성혈관폐색의 광역학적 치료 [Chem.] |
개최일시 : 6월 2일 (금) 오전 11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최지수 (DGIST)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배고픔에 의해 조절되는 가측시상하부 신경들의 맛집 탐방과 음식 먹기 행동 조절 [Nat. Commun.] |
개최일시 : 6월 2일 (금)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김규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인간 만능줄기세포의 역분화를 억제하는 분자 장벽 ZBTB12 [Nat. Commun.] |
개최일시 : 6월 8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한다솔 (Altos labs)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정맥주사형 항암 바이러스 연구 개발과 비임상 효능 확인 [J. Immunother. Cancer.] |
개최일시 : 6월 9일 (금) 오전 10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이남희 (신라젠)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빔프로젝터를 이용한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한 뇌 활성지도 작성 연구 [Neuron] |
개최일시 : 6월 12일 (월)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김성훈 (서울대학교)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단일세포 RNA-seq 데이터 분석을 위한 마커 기반의 계층적 세포유형식별 SW, HiCAT을 이용한 세포 하위유형 및 활성상태 식별 [Brief. Bioinform.] |
개최일시 : 6월 14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윤석현 (단국대학교)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인간 난모세포의 발달 능력과 방추체 관찰의 상관관계 [Fertil. Steril.] |
개최일시 : 6월 15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문정희 (Stanford Medicine Childr...)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자성 신경 스페로이드 마이크로로봇를 이용한 자기장 제어 기반 신경세포연결 연구 [Adv. Mater.] |
개최일시 : 6월 20일 (화) 오후 03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김은희 (아임시스템)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부터 신의료기술까지: 망막기반 심혈관위험평가 [BMC Med.] |
개최일시 : 6월 21일 (수) 오후 03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임형택 (Mediwhale (APAC), Duke-N...)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유전자 발현의 존재/부재 보완을 통한 작물의 잡종강세 (Heterosis) [J. Adv. Res.] |
개최일시 : 6월 22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이준선 (University of British Co...)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숨겨진 신호를 가진 보호색의 기능 및 진화 [Science.] |
개최일시 : 6월 27일 (화) 오전 10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강창구 (서울대학교)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세포 리프로그래밍과 조직 재생의 공통 기전 연구 [Sci. Adv.] |
개최일시 : 6월 28일 (수) 오전 10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하정민 (기초과학연구원)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Extru-seq: 세포 기반과 시험관 기반의 장점들을 모두 취한 표준화된 크리스퍼 오프타겟 예측법 [Genome Biol.] |
개최일시 : 6월 28일 (수)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이정준 (툴젠) |
![]() |
학술웨비나 - 연구성과
흉터 없이 투명한 각막 조직 재건을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조직 실란트 개발 [Biomaterials] |
개최일시 : 6월 29일 (목) 오후 02시 (한국시간)
발표연사 : 김현지 (POSTEC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