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Wave,  Vol. 25 No. 5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분자신경생리연구실 최진성 교수
연구실 홈페이지
Introduction  
 

 저희 분자신경생리학연구실은 주로 Pain, Cardiotoxicity, Neuron Simulation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경의 활성이나 심장에 미치는 약물의 독성등 동물실험을 필요로 하는 전임상 연구를 대신하기 위해 신경 및 심장 세포의 컴퓨터 모델링을 구축 중에 있습니다. 독립적인 신경활성 측정시스템과 형광이미지분석 시스템, bioinformatics 분석시스템, 유전자 및 분자생물학 분석툴, 세포배양실 등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연구가 가능한 충분한 공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Jin-Sung Choi, Ph.D.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Pharmac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가톨릭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교수 - 해부생리학, 병태생리학 (2011 -)
   Associate Research Scientist, Department of Neurology,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New Haven, CT, U.S.A. (2003 - 2011)
   Postdoctoral Associate, Department of Entomology, NYSAES, Cornell University,
   Geneva, NY, U.S.A. (2001 - 2002)

 
 
Research  
 

Research Interests

 

1. Electrophysiology

우리 실험실에서는 ion channel을 통해 이동하는 ion들의 이동 방향과 크기를 측정하여 channel의 activity를 보고 있습니다. 주로 진통제 개발을 위해 nociceptor에서 발현되는 Na+ 통로와 K+통로의 기능 규명 및 억제제를 개발 중에 있으며 다국적 제약회사에서 사용 중인 automatic patch clamp 및 manual patch clamp 기기를 모두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약의 안전성을 시험하기 위해 전기생리학적 심독성도 분석하고 있습니다.

2. Cardiotoxicity

의약품에서 심혈관계 부작용은 심근경색 및 돌연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심장 독성 평가를 실시합니다. 현재 심혈관계 안정성 약리 평가 항목인 hERG Assay 뿐만 아니라 심장의 활동전위에 영향을 미치는 voltage gated sodium channel 및 L-type Calcium channel에서도 activity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human iPSC로부터 분화시킨 cardiomyocyte에서 약물에 의한 심장 박동 및 활동전위 모양의 변화를 통해 약물이 심혈관계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3. Computational simulation

신경의 활성이나 심장에 미치는 약물의 독성등 동물실험을 필요로 하는 전임상 연구를 대신하기 위해 신경 및 심장 세포의 컴퓨터 모델링을 구축 중에 있으며 이를 위해 신경과학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Neuron computational software와 MATLAB, Python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ublications  
 

최근 5년, 2018~현재

- 2023
Tramadol as a Voltage-Gated Sodium Channel Blocker of Peripheral Sodium Channels Nav1.7 and Nav1.5
CS Bok, RE Kim, YY Cho, JS Choi
Biomolecules & Therapeutics

Stable expression of human Nav1.5 for high-throughput cardiac safety assessment
J Choi, RE Kim, YY Cho, JS Choi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1-8

Polysorbate 80 blocked a peripheral sodium channel, Nav1.7, and reduced neuronal excitability
RE Kim, JS Choi
Molecular Pain, 17448069221150138

- 2021
Mini-review-sodium channels and beyond in peripheral nerve disease: modulation by cytokines and their effector protein kinases
X Cheng, JS Choi, SG Waxman, SD Dib-Hajj
Neuroscience Letters 741, 135446

- 2020
Open channel block of Kv1. 4 potassium channels by aripiprazole
J Park, KH Cho, HJ Lee, JS Choi, DJ Rhie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Physiological Society and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24,6, 545-553

Norquetiapine blocks the human cardiac sodium channel Nav1. 5 in a state-dependent manner
DH Kim, KS Park, SH Park, SJ Hahn, JS Choi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885, 173532

- 2019
Effects of cariprazine on hERG 1A and hERG 1A/3.1 potassium channels
HJ Lee, BH Choi, JS Choi, SJ Hahn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854, 92-100

- 2018
Differential use-dependent inactivation of Nav1. 8 in the subpopulation of cultured dorsal root ganglion
DH Kim, JS Choi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14 (4), 409-416

1.7 GAIN OF FUNCTION NaV MUTATIONS IN IDIOPATHIC SMALL FIBER NEUROPATHY
Catharina G Faber, Janneke GJ Hoeijmakers, Hye-Sook Ahn, Xiaoyang Cheng, Chongyang Han, Jin-Sung Choi, Mark Estacion, Giuseppe Lauria, Els K Vanhoutte, Monique M Gerrits, Sulayman Dib-Hajj, Joost PH Drenth, Stephen G Waxman, Ingemar SJ Merkies
Chasing Men on Fire: The Story of the Search for a Pain Gene, 175

Norquetiapine, the Active Metabolite of Quetiapine, Inhibits Cloned hERG Potassium Channels
HJ Lee, JS Choi, SJ Hahn
Biophysical Journal 114 (3), 293a

Effects of norquetiapine, the active metabolite of quetiapine, on cloned hERG potassium channels
HJ Lee, JS Choi, BH Choi, SJ Hahn
Neuroscience Letters 664, 66-73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te specific N-glycosylation in the potassium channel Kv3. 1b
PC Vicente, JY Kim, JJ Ha, MY Song, HK Lee, DH Kim, JS Choi, KS Park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233 (1), 549-558

 
     
 
멤버사진
확대보기  

 지도교수: 최진성 교수

   (2022년 현재)
 B.S.Student : Ryeong Eun Kim
 Contact :
rekim@catholic.ac.kr, Lab: 02) 2164-6530
 Homepage: https://neuron.catholic.ac.kr/wordpress/

 
     
* 본 정보는 해당 대학/연구실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된 내용으로, BRIC에서 작성한 정보가 아님을 밝힙니다.
* 소개된 내용에서 중요하게 판단되는 부분은 해당 기관에 추가적으로 사실 확인 작업을 하시길 부탁드립니다.
* 내용의 업데이트 또는 변경을 원하시면 관리자(news@ibric.org)에게 연락 바랍니다.
등록일 2022.12.19
주소복사
HOME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B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