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blications(최근 5년)
Lee, Minsuk, et al. Rationally designed bioactive milk-derived protein scaffolds enhanced new bone formation. Bioactive materials, 2022, 20: 368-380
PARK, Sihyeon, et al. Micro-groove patterned PCL patches with DOPA for rat Achilles tendon regeneration.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022, 105: 352-364.
SAHU, Abhishek, et al. Nanozyme Impregnated Mesenchymal Stem Cells for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Alleviation.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21, 13.22: 25649-25662.
PARK, Junggeon, et al. Electrically conductive hydrogel nerve guidance conduits for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020, 30.39: 2003759.
JEON, Jin, et al. Micro-grooved nerve guidance conduits combined with microfiber for rat sciatic nerve regeneration.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020, 90: 214-223.
LEE, Min Suk, et al. Biofabrication and application of decellularized bone extracellular matrix for effective bone regeneration.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020, 83: 323-332.
LEE, Gunhee, et al. Nature-inspired rollable electronics. NPG Asia Materials, 2019, 11.1: 1-10.
PARK, Uiseon, et al. Coacervate-mediated exogenous growth factor delivery for scarless skin regeneration. Acta biomaterialia, 2019, 90: 179-191.
LEE, Min Suk, et al. Topographically defined, biodegradable nanopatterned patches to regulate cell fate and acceleration of bone regeneration.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8, 10.45: 38780-38790.
- News

[뉴스웍스] 중배엽 줄기세포 이용 허혈성 간 손상 억제한다.
태기융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양희석 단국대 나노바이오의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생체적합 나노입자를 탑재한 중배엽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허혈성 간 손상을 억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활성산소종에 의해 손상된 조직에서 생존이 힘든 중배엽 줄기세포(MSCs)에 활성산소종 분해효과를 가진 프러시안 블루(PB) 나노입자를 탑재하여 줄기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고 치료효과 인자의 방출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했다._2021.06.27

[뉴스워커] 손상된 신경을 재생시키는...'전기전도성 수화젤 신경도관' 개발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총장 김기선) 신소재공학부 이재영 교수와 단국대학교 양희석 교수 공동연구팀은 손상된 말초 신경을 재생하는데 효과적인 그래핀 기반의 전도성 수화젤 신경도관을 개발했다. 말초 신경 손상은 손상 정도에 따라 스스로 재생이 되지 않아 직접 봉합이나 자가 이식* 등 현재 외과적 수술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신경 조직 긴장과 제공자 부위의 병적 상태에 따른 이환율(병에 걸릴 확률)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_2020.09.01

양희석 교수, 이민석 대학원생 'Biomaterials' 학술지 논문게재
양희석 교수(나노바이오의과학과)가 생체재료분야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학술지인 Biomaterials(IF=8.387, 상위 3%)에 논문을 게재한다. 논문의 내용은 전기방사법을 통해 생분해성 고분자로 마이크로 메쉬를 제조하고 코아세르베이트(coacervate, 생체 물질의 분리·농축, 마이크로 캡슐 제조에 이용되는 유기물 복합체) 재료를 코팅하여 성장인자를 탑재시킨 후 이를 이용해 혈관내피세포 및 줄기세포의 분화를 촉진 할 수 있음을 확인한 연구 논문이다. _2017.04.15
|